반응형

     

    심리학 연구에서 실험 다음으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설문지(질문지)다(적어도 내가 있던 연구실에서는 그랬다). 그렇기에 심리학도라면 질문지법에 대해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질문지법의 장/단점, 질문 문항의 구조 및 형태에 따른 분류, 질문 작성시 유의사항, 설문 결측치의 보완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질문지법의 장·단점

    장점

    익명성이 보장되며, 질문의 내용이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 조사자의 편견이 배제된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큰 표본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질문지법이 쓰인다.

     

    단점

    흔히 글로하는 조사가 그렇듯,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하다. 또한, 각 문항에 대한 무응답률이 높을 수 있다. 질문이 많을 경우 실수로라도 어떤 문항에 답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한 추가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그렇기에 아래에서 후술할 결측치의 보완방법을 사용하곤 한다.

     

     

    질문 문항의 구조 및 형태에 따른 분류

    질문 문항은 문항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서 개방형 질문, 폐쇄형 질문, 양자택일형 질문, 선다형 질문, 서열식 질문, 체크리스트형 질문, 평정식 질문, 어의차형 질문으로 나뉜다.

     

     

    개방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개방형 질문
    개방형 질문

     

    개방형 질문은 질문에 대해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예비조사나 탐색적 조사 등에 주로 사용된다.

     

    • 장점
      • 탐색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 통찰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
      • 보다 정확하게 의견을 파악 가능하다.

     

    • 단점
      • 코딩과 분석이 어렵다.
      • 해석에 조사자의 편견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 응답자들에게 심적 부담을 주기 때문에, 불성실 응답과 응답 거부가 증가한다.
      •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폐쇄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폐쇄형 질문
    폐쇄형 질문

     

    폐쇄형 질문은 일정한 수의 선택지로 응답 내용을 한정한다. 어떤 응답을 할 것인지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 장점
      • 채점과 코딩, 분석이 간편하다.
      • 민감한 질문에도 용이하게 응답이 가능하다.
      •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 상대적으로 응답률이 높다.

     

    • 단점
      • 적절한 응답지를 제시하기 어렵다.
      • 적절한 응답지 구성을 위해 연구자의 사전 지식이 요구된다.
      •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
      • 주요 항목이 누락되면 오류가 생긴다. 위의 예시에서도 '알뜰폰' 항목이 누락되어 있다.
      • 응답문항 배열에 따라 응답이 달라진다.

     

     

    양자택일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양자택일형 질문
    양자택일형 질문

     

    양자택일형 질문은 두 가지의 선택만을 제시하는 것으로, '모르겠음'을 추가하여 선택의 여지를 넓히기도 한다. 신속하며 응답 분석이 쉽고 대답하기도 쉽지만, 중도의 의견을 반영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선다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선다형 질문
    선다형 질문

     

    선다형 질문은 몇 개의 항목을 미리 정하여 답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응답 카테고리가 너무 많으면 응답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항목은 3개에서 5개 정도가 적당하다.

     

    선다형 질문 작성시 유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질문은 논리적이면서 내용을 총망라 해야하고, 선택항목이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또한 표현이 구체적이어야하며, 여러 개의 기준을 제시하면 안 된다.

     

     

    서열식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서열식 질문
    서열식 질문

     

    서열식 질문은 가능한 모든 대답을 열거하고, 중요도 순으로 순서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대적인 서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응답 항목이 너무 많은 경우 판단이 어려우므로, 항목은 10개 이하가 적당하다. 다만, 서열식 질문에서 서열 간 거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는 점을 참고하자.

     

     

    체크리스트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체크리스트형 질문
    체크리스트형 질문

     

    체크리스트형 질문은 선다형 질문의 일종이다. 응답 항목이 많은 편이며, 주로 단어를 제시한다. 비교적 간편하게 수량화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평정식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평정식 질문
    평정식 질문

     

    평정식 질문은 대답의 강도를 요구하는 질문이다. 대답의 항목 자체의 종류가 다른 것이 아니라, 한 종류이면서 강도가 다른 대답을 나열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리커트 척도 방식에 해당한다.

     

     

    어의차형 질문

     

    조사방법론: 질문지법의 어의차형 질문
    어의차형 질문

     

    어의차형 질문은 사물이나 개념에 대한 평가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것이다. 하나의 개념을 여러 가지 의미의 차원에서 평가하도록 한다. 서로 반대되는 형용사를 양극에 제시하는 형태를 띈다.

     

     

    질문 작성시 유의사항

    연구자가 질문을 작성할 때에는 질문의 배열과 순서, 용어와 내용, 문항 구성에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배열 및 순서상 유의사항

    • 민감한 질문이나 개방형 질문은 후반부에 배치한다.
    • 답변이 용이한 질문은 앞부분에 배치한다.
    • 기억이 필요한 질문은 앞부분에 배치한다.
    • 논리적 순서에 맞게 배열한다.
    • 신뢰도를 묻는 질문 문항은 분리해서 배열한다.
    • 동일한 척도 항목은 모아서 배열한다.
    • 여과 질문을 적절하게 배열하여 사용한다.
    • 상호 연상이 우려되는 문항은 서로 멀리 떨어뜨린다.
    •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하여 특수한 질문은 후반부에 배치한다.

     

     

    용어 및 내용상 유의사항

    • 질문에 들어가는 용어는 구체성, 신축성, 명료성, 중립성을 가져야한다.
    • 유도질문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 위협적 질문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 이중 질문은 지양해야 한다.
    • 응답자의 수준에 맞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 민감한 질문의 경우, 우회적·간접적으로 조사한다.
    • 응답자가 잘 모르거나, 관심없는 문항은 제외한다.

     

     

    문항 구성시 유의사항

    • 상호배타성: 질문 문항 중 중첩되는 문항이 있어서는 안 된다.
    • 포괄성: 응답자가 응답할 수 있는 조사 항목이 있어야 한다.
    • 간결성: 최소한의 변수로 많은 결과를 설명해야 한다.

     

     

    결측치의 보완방법

    질문지를 사용해 연구를 진행하다보면, 응답자가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결측치'가 발생한다. 이러한 결측치는 평균치삽입법, 보삽법, 평가치추정법으로 보완한다.

     

     

    평균치삽입법

    평균치삽입법은 문항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변수값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사례나 변수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삽법

    보삽법은 시계열 자료가 누락된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다. 맥락과 추세를 고려하여 결측치를 추정 가능하고, 이를 주로 평균으로 기입하게 된다. 심한 변동을 겪지 않은 변수를 추정할 때 유용하다.

     

    평가치추정법

    평가치추정법은 작은 오차만을 감수하면서 원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맥락이나 행렬식의 자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변수의 성격이나 집단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 지식의 범위에서 해당 값에 대한 평가를 내린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