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과학적 방법과 분석 단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과학적 방법과 관련하여 과학적 방법의 목적과 특징, 논리 전개 방식(연역법, 귀납법), 과학적 연구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볼 것이다. 더불어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분석 단위와 분석 단위에 관한 오류의 종류도 알아보자.

     

     

    1. 사회과학 연구에서의 과학적 방법

    사회과학 연구는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Kerlinger(1973)은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 접근을 통하여 이론을 검토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며, 통제가 가능하고, 연구자의 가치중립이 유지되며, 연구 결과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타당한 해석이 있다는 것이 과학적 방법의 특징이라고 하였다. 

     

    과학적 방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인과관계의 규명: 실험과 체계적인 이해를 통해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 일반화: 반복실험 및 반복 검증을 통해 규칙을 발견하고, 규칙을 일반화하여 이론으로 정립하고자 한다.
    • 예측 및 통제: 정립된 이론을 통해 새로운 대상과 현상을 분석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 및 체계화한다.

     

     

    과학적 지식의 6가지 특징

    ① 재생가능성(Reproducibility)

    일정한 절차와 방법을 되풀이했을 때, 누구나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가능성을 재생가능성이라고 한다. 즉,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시한 연구라면 동일한 결과가 재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② 경험성(Empiricism)

    경험성에 따르면, 연구 대상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감각에 의해 지각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연구 대상이 무조건 물리적인 것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추상적인 개념도 경험적으로 인식이 가능해야 한다.

     

    ③ 객관성(Objective)

    표준화된 도구와 절차를 통해서,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이 객관성이다.

     

    ④ 간주관성(Intersubjective)

    간주관성은 상호주관성이라고도 한다. 연구자 간 시각이 다르더라도, 같은 방법과 절차에 의해 연구가 행해진다면 누구나 동일한 공동의 결과를 얻게 된다.

     

    ⑤ 체계성(Systematic)

    체계성에 따르면, 과학적 지식은 과거로부터의 업적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확고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⑥ 변화가능성(Changeable)

    정립된 과학적 지식은 항상 그대로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과학은 발전해나가게 된다.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가 비판되고 수정될 수 있음을 뜻한다.

     

     

    과학적 방법의 논리 전개 방식

    ① 연역법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에서 개별적으로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이끌어내는 것을 연역법이라고 한다. 이미 알고 있는 판단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조직화 → 관찰 및 경험 → 검증의 단계를 거치므로, 기존 이론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ex. 모든 사람은 죽는다 → A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A는 죽는다). 기존 이론에 대한 분석을 거쳐야 가설을 설정하고 조직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역법은 양적연구에 적합하다.

     

     

    ② 귀납법

    구체적인 관찰과 경험에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내는 것을 귀납법이라고 한다.

     

    주제 선정 → 관찰 → 유형 발견 → 결론(이론)의 단계를 거치는데(ex. 까마귀 1은 검다, 2도 검다, 3도 검다... 99999도 검다 → 그러므로 모든 까마귀는 검다), 이는 질적연구에 적합하다.

     

     

    과학적 연구 과정

    Borg와 Gall(1989)은 과학적 방법의 일반적 절차에 대해,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자료를 수집한 다음, 자료 분석 결과가 이론을 지지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고 보았다. 그들이 설명한 과학적 방법의 절차를 세분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Borg & Gall(1989)의 과학적 방법의 절차
    Borg & Gall(1989)의 과학적 방법의 절차

     

    Wiersma(1995)는 과학적 방법의 연구절차를 문제 선정, 정보 검토, 자료수집, 수집한 자료 분석, 결론 유도의 5단계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Wallace는 어떤 사회현상을 이해하거나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론적인 시각이 동원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이론적 시각으로부터 직접적/간접적으로 가설을 도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사회현상이 이론적 시각 및 도출된 가설과 일치하는지 밝히는 일련의 과정을 거쳤다.

     

     

    Wallace의 과학적 연구과정 모형
    Wallace의 과학적 연구과정 모형

     

     

    2. 분석 단위

    분석 단위는 조사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 보다 큰 집단을 기술하거나 추상적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위이다. 분석 단위에는 개인, 집단, 프로그램, 조직, 지역사회, 국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분석 단위와 비슷한 개념으로 관찰 단위가 있다. 분석 단위는 해당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단위라면, 관찰 단위는 해당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접촉하는 단위다.

     

     

    분석 단위에 관한 오류

    ① 생태학적 오류

    생태학적 오류란, 집단에 대한 관찰만으로 개인에 대한 결론을 잘못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② 개인주의적 오류

    개인주의적 오류는 개체주의 오류라고도 한다. 개인에 대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다.

     

    ③ 환원주의적 오류

    환원주의적 오류는 축소주의 오류라고도 한다. 한정된 시각으로 전체를 해석하려는 오류로, 특정한 현상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개념을 지나치게 한정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이는 변수 선정과 관련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